침례교회의 특징들
(Distinctives of Baptist Church)
울산 중앙성서침례교회 한일운 목사
I.성서의 권위
(Biblical Authority)
특징이란 어떤 일이 다른 일과 구별되는 특성 혹은 모습을 말한다. 여러 가지 분파의 기독교 가운데 침례교도의 특징은 침례교도를 다른 그리스도인들의 무리 혹은 교단과 구별하는 교리와 실천을 말하는 것이다.
1. 성경의 권위에 대한 침례교도들의 선언
우리는 성경이 초자연적으로 감동을 받은 사람들에 의해 기록되었음을 믿는다. 이것은 어떠한 오류의 혼합됨이 없는 진리임을 믿는다. 그러므로 성경은 세상 끝 날까지 사람에게 주신 하나님의 뜻을 나타내는 유일하고 완전하고 최종적인 계시임을 믿는다. 성경은 그리스도인의 연합의 참된 중심이며 인간의 모든 행위, 신조들, 의견들이 이에 의해 시험을 받게 되는 최고의 표준임을 믿는다.
1) 성경은 초자연적으로 감동되었다.
침례교도들에게 성경은 창세기로부터 계시록까지 66권의 책을 모아 놓은 것으로써 구약과 신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원래 기록되었을 때 하나님의 말씀자체인 것이다.(요10:34~36,딤후3:16~17,벧후1:19~21)성경이 성령의 감동으로 기록되었다는 외부적인 증거는 성경이 변함없이 온 세상에 영향력을 주는 힘이 있으며 그 예언들이 어김없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말씀을 적용할 때 믿는 자의 인생에 미치는 역동적인 변화를 주는데 있는 것이다.
2) 성경은 전부가 진실하다.
침례교도들의 믿음의 선언에서 성경은 어떤 오류의 혼합도 없는 진리라고 말한 것은 성경이 전부가 진리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요17:17,마5:18,마4:4,요10:35)
3) 성경은 하나님의 완전한 계시이다.
침례교도들은 하나님께서 사람이 알기를 원하시는 모든 것을 성경 안에 계시하셨다는 것을 믿는다. 사람에게 알리는 하나님의 유일하고 완전하고 최종적인 계시이며 세상 끝 날까지 그렇게 남게 될 것이다.(계22:18~19) 이 66권의 성경책 이외에 하나님의 감동으로 기록되었다고 주장하는 것들은 모두가 가짜이며 그릇된 것이다.
4)성경은 최종의 권위이다.
침례교도의 믿음의 선언의 마지막 절은 성경을 믿는 자들과 온 인류의 믿음과 실천을 위한 최종의 권위로서 세우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말하기를 성경은 최고의 표준으로서 이것에 의하여 모든 인류의 행동, 신조 그리고 의견들이 옳은가 그른가를 시험받게 된다.(마5:18,요12:48,계20:12,시편12:6~7,119:9,11,89)
2. 어떻게 성경의 권위가 침례교도의 특징인가
성경의 권위에 대한 침례교도의 견해가 침례교도들을 다른 그리스도인들과 구별하게 만드는 것이다. 분명히 침례교도의 입장은 캐도릭과 많은 개신교들과 오순절교도들 혹은 은사주의 사람들과 다른 것이다.
1) 로마 캐도릭 견해와 다르다.
캐토릭의 견해는 의회(추기경회)가 발표한 칙령들, 교황들의 선언들 그리고 교회의 전통이 성경의 권위와 대등한 것으로 여기고 있다.(딤후3:16,마4:4)
2) 많은 개신교도들과 다르다.
먼저 언급한 것처럼 침례교도는 많은 개신교도들과 유사한 점이 있다. 그러나 어떤 개신교 교단들은 종교 개혁의 시대에 원래 그들의 설립자들에 의해 채택된 성경의 권위에 대한 입장을 버렸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오늘날 몇 개의 개신교 교단들은 이성과 그들의 신학자들의 생각과 현대의 과학과 철학을 성경의 권귀와 동등하게 높여 놓였다. 침례교도의 입장은 신약만이 교회를 위한 충분하고 완전한 권위라고 믿는 반면에 희랍 정교,로마 캐토릭 그리고 많은 개신교도들은 다 같이 구약에서 그리스도의 법과 그리스도인의 제도를 발견하고자 하는데 있는 것이다. 신약만이 신약의 교회와 그 직분들과 그 기능을 정의할 수 있다.이러한 특징은 침례교도와 많은 개신교도들과 적어도 그 실천에 있어서 구분되는 선이 그어지며 캐토릭과는 완전히 다른 것으로 구별되는 것이다.
3) 오순절파들 혹은 은사주의자들과 다른 특징들
오순절파들 혹은 은사주의자들의 고통적인 믿음은 하나님께서 아직도 그들의 회원들에게 특별한 계시들을 주신다고 믿는 것이다. 즉 그 계시는 영적인 은사들 곧 방언들을 말하거나 통역함으로 혹은 지식의 은사와 예언의 은사 등등을 통하여 나타난다고 믿는 것이다. 이런 은사들을 행사함으로써 성경의 것과 동일한 계시를 제공한다고 믿고 있다. 침례교도들은 이와 같은 주장들을 고린도 전서13:10의 해석에 근거하여 도전한다. 성경은 사람에게 주시고자 하는 하나님의 유일하고 완전하고 최종적인 계시일 뿐 아니라 이 시대의 끝 날까지 지속될 것이다.
3. 최고의 성경적인 권위를 가진 역사적인 침례교도
19세기 가장 위대하고 사랑을 받는 침례교도 신학자인 B.H.Carroll은 기독교의 모든 역사를 통하여 어둡고 악취가 나는 토굴 감옥으로부터 추방과 쫓김의 외로운 방랑으로부터, 순교의 불길로 인하여 죽임을 당한 자들의 큰 불길 가운데서 나오는 신음과 고통의 소리로부터 한 음성이 들리는데 여기서도 소리치고, 저기서도 속삭이며, 한숨짓고, 흐느끼며 혹은 그 밖에서도 움켜쥐고 끌어안는 것은 침례교도의 음성인데 이것은 은 나팔소리보다 더 명확하고 챠임 벨 소리보다 더 달콤하고, 미풍과 강풍을 통하여 들리는 침례교도의 음성이 있다. 오 지구여 귀를 기울이라: 신약이 기독교의 법이다! 조로아스터, 브라마, 유교, 제노 그리고 에피큐러스의 제자들은 이 말을 들어라. 그리고 마호멧이 그의 코란과 함께 올 때 그리고 죠 스미스가 그의 몰몬과 함께, 스웨덴 보르그가 그의 새 계시와 함께 혹은 영을 빼앗는 자들, 마법사들, 마녀들 그리고 무당들 그들의 사기들과 함께 올 때 그리고 과학이 이 책을 숨 막히게 죽이고 다 무효가 된 고물로 취급할지라도 침례교도의 음성을 그들을 꾸짖고 있다. 그리스도 자신이 그의 왕국을 세우신다. 그리고 주님이 감동하신 사람들이 이 모든 제도들에 대한 신빙성 있는 기록을 우리에게 제공하고 있다. 그들은 성령으로 감동 받은 사람들을 후계자로 세우지 않는다. 그 기록은 완전하다. 예언도 환상도 끝났다. 계시의 성경과 법을 제정하는 기간은 끝났다. 아무도 그 기록에 더하거나 감하게 하지 말라 혹은 그것을 희석하거나 대치하지 못하게 하라. 이것은 기록되었고 다 끝마쳤다.
II. 개인적인 양심의 자유
(Individual Freedom of Conscience)
침례교도들의 기본적인 원리들 가운데 하나는 개인적인 양심의 자유이다. 이 침례교도들의 특징은 잘 이해하고 잘 수호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1. 근본적인 특징
모든 역사를 통하여 침례교도들과 그들의 믿음의 조상들은 각 사람의 인격적인 그리고 개인적인 책임과 의무를 선언해 왔다. 그들은 하나님께 대한 예배는 자발적인 것이어야 하며 하나님과의 개인적인 관계는 그 사람만이 가지는 책임이라는 점을 선언해 왔다. 한 사람이 하나님과의 대화를 제한하거나 막는 어떤 형식도 그 개인에게 죄를 범하는 것일 뿐 아니라 인류의 복지를 방해하는 것이다.
2. 성경적인 명령
침례교도들은 개인에게 주어진 양심의 자유에 대한 개념은 신약의 가르침에 있는 인간 본연의 권리라고 보고 있다.
1) 각 개인의 영혼은 하나님 앞에서 의무와 심판 받도록 부르심을 받았다고
가르치고 있다.(롬14:12,히9:27,계20:12,마12:36,롬2:16)
2) 이러한 생각은 그리스도께서 하나님께 순종하고 그 분을 따르라고 개인적인 결심을 촉구한 사실에 의해 또한 강화되고 있다.(마7:24~27,12:46~50,눅9:57~62)
3) 그리스도께서는 각 사람을 제자와 섬기는 자로 부르셨다.
(마4:18~20,9:9,행9:4~6)
4) 복음이“모든 족속에게”전해지게 하라고 명하셨다.(막16:15)
5) 사도행전17:30은“어디에 살고 있는 어떤 사람에게도 회개하라고 명령하셨다”라고 말씀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침례교도들은 사람의 양심을 억지로 다스려서 사람으로 하나님을 믿고 예배하는 일을 강제로 요구하거나 제지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른 것이다. 그러므로 침례교도들은 종교와 자유와 양심의 자유는 하나님께로부터 온 선물들임을 믿고 있다.(요4:24)그러나 우리의 창조주께서는 이런 권위를 어떤 왕이나 제사장 혹은 어떤 형태의 인간의 조직에게 위임한 적이 없었다.
3.교회적인 특징
1)침례교도들은 유아 세례의 유효성을 부인한다.
침례교도들은 이것이 각 사람이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믿음을 대답해야 한다는 원리에 상반되는 것이라고 믿고 있으며 따라서 유아 세례를 무효한 행동이요 무의미한 것으로 여기고 있는 것이다.
2) 침례교도들은 믿는 자 각인이 주 예수님을 통하여 하나님께 직접 나아갈 수 있는 제사장임을 가르치고 있다.(딤전2:5)침례교도들은 각 영혼은 하나님 앞에서 평등함을 믿고 그렇게 가르치고 있다. 왜냐하면 하나님은 사람들을 구별하시지 않기 때문이다.(행10:34,히4:14~16,벧후2:9,계1:6)
4. 역사적인 특징
1) 양심의 자유에 대한 초기의 선언들
도나티스트라고 불리는 무리들(그들의 가장 뚜렷한 지도자의 이름을 따서 불리어진 이름)은 몇 가지 문제들 때문에 국가적인 교회로부터의 분리이다.
2) 영국의 침례교도들은 이 원리들로 인하여 핍박을 받았다.
(1) Thomas Helwys
(2) 17세기 요한 번연
3) 미국의 침례교도들이 이 원리를 준수한다는 이유로 고통을 당했다.
(1) John Clark
(2) Roger Williams(행5:29)
4) 침례교도는 미국의 시민이 자유를 누리는데 영향을 주었다.
Thomas Curtin는 그 후에 토마스 제퍼슨이 옹호한 시민의 자유와 정부에 대한 침례교도의 원리가 미국의 헌법을 제정하는데 도움을 주었던 것이다. 그 실례로는 교회 정치의 민주적인 회중 정치제도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들 수 있다.
III.교회와 국가의 분리
(Separation of Church and State)
1.성경적인 논쟁
1) 교회의 본성이 국가로부터의 분리를 요구하고 있다.
침례교회들이 믿는바 예수그리스도의 교회는 지역적이며 가시적이고 자치권을 갖고 있는 조직이며 거듭난 침례 받은 믿는 자들로 구성되어 있다.Noel Smith는 침례교도들은 자치적인 교회들을 믿는다. 그들은 지역교회는 완전한 단위임을 믿는 것이다. 그들은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머리이시고 지역교회의 유일한 머리이심을 믿는 것이다.
2) 분리된 기능
교회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널리 전하기 위해 영적인 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마22:21,행18:12~17,21:27~39,행22:25~30,25:10~12)
3) 분리를 위한 명령(고후6:14~17)
4) 신약 교회와 국가가 연합한 예가 없다.
신약의 모든 시대에 있어서 그리스도교는 로마 국가와 분리 되었다.이런 사실이 신약 그리스도인들의 순결과 양심을 보존하는데 도움을 주셨다.(행5:27~29)
2. 역사적인 논쟁
수세기 동안 침례인들은 교회와 국가의 분리를 전하고 증진시켜 왔다. 그들의 믿음은 그리스도인 각인이 하나님 앞에서 자신의 일을 회계해야 하며 개인적으로 하나님과의 관계에 대하여 책임을 받아 들여야 하며 국가에 의해 강요되는 예배(교회/국가의 연합은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다)는 거짓된 것임을 믿어 왔으므로 이렇게 할 수 있었다.
1)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대한 최초의 영문 선언
4세기경 도나티스트에 의해 이러한 선언이 발표되었지만 영어로 된 선언은 16세기 영국 침례교 운동의 설립자John Smith에 의해 만들어졌다.(롬13:1~3,약4:12)
2) 이 원리로 인하여 침례교도들은 미국에서도 고난을 당했다.
유아세례를 반대하도록 다른 사람을 격려하는 자는 국외로 추방되었다.(1651년 John Clarke, Crandall, Obadiah Holmes)
3.실제적인 논쟁
1) 양심의 자유를 증진하기 위하여
침례교도들은 하나님을 향한 진정한 예배는 개인의 양심적이고 의지적인 결정에 의하는 것임을 믿기 때문에 그들은 이러한 제약은 양심의 자유를 억압하는 것이라고 믿는 것이다.
2) 공정한 정부가 가능하다.
이처럼 모든 시민을 동등하게 잘 대우하고 모든 사람에게 유익을 주기 위하여는 교회와 국가의 분리에 의해 사회에 봉사해야 하는 것이다.
3) 결론
침례교 학자인B.H.Carroll은 양심에 대한 핍박 없이는 교회와 국가는 연합할 수 없다. 그 모든 지역에서 침례교도들은 핍박을 당하여 피를 흘렸고 채찍에 맞고 투옥되었으며 재산이 압류되었다. 교회와 국가가 분리될 때 비로소 양심의 자유, 정치의 공정성 그리고 복음의 충분한 전파가 가능할 것이다.
Ⅳ.침례인들과 신약 교회
(Baptist and the New Testament Church)
캐토릭이나 푸로테스탄트들은 소위“교회”란 교단 혹은 우주적인 가시적 혹은 불가시적인 통일체(Entity)라고 말하고 있다. 침례교도들은 이런 언급을 하지 않는다. 오히려 침례교도들은 신약교회들이라고 말하는 것이다.
1. 신약 교회의 정의
침례교도들은 신약 교회란 지역적이며 가시적이며 침례 받은 믿는 자들의 영적인 모임으로 믿고 있다. 침례교도들은 각 지역 교회가 온전한 그리스도의 신약 교회임을 믿는 것이다. 신약에서는“그 교회(the Church)”란 말을 전혀 발견할 수 없다. 다만 교회들이란 말이다. 신약에는 다만 지역 교회들만 있을 뿐이다. 계시록 마지막 장에는 예루살렘으로부터 온 교회들이 있음이 분명하다.“유일한 교회(The Church)”신약의 용어가 아니다. 신약의 용어는 교회들인 것이다.
2. 신약 교회의 명칭
1) “에클레시아(ecclesia)”의 의미
이 개념은 오늘날“교회”라고 번역된 희랍어인“ecclesia”에서 유래된다.
희랍어“ecclesia”란 단어는 두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데 즉“ek”이란 말은 밖으로란 뜻이고 klesis란 말은 부르심을 받는다는 뜻이다.W.E.Vine은 말하기를 이것은“국정을 논의하기 위하여 모인 시민들의 모임”을 말할 때 희랍인들이 사용하던 말이라고 한다.
침례교도들은 모임이란 지역적이며 믿고 침례 받은 자들의 영적인 모임이어야 하며 조직되고 완전해야 한다.
2) 어떻게“ecclesia”란 말이 신약에서 사용되었는가?
이 희랍어가 킹 제임스 성경에서 114회나 교회란 말로 번역되었다. 그리고 “모임(assembly)”이란 말은 다섯 번 나온다.
(1) 특정한 사용법 --- 이 단어의 사용은 100회 이상이나 특정한 모임을 언급할 때 사용되었다. 다섯 가지 제외하고(행7:38,19:32,41,히2:12)이 땅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특정한 모임 혹은 앞으로 영광 가운데 모일 그 분의 전체 모임을 지칭하고 있다.
(2) 추상적인 사용법---마16:18은 추상적인 개념은 어떤 특정한 지역적인 그리고 가시적인 본체를 찾는 것이다.
(3) 포괄적(총체적)인 사용법---마18:17에서 사용된 교회란 단어는 모든 교회들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또한 지역적, 가시적, 그리고 만질 수 있는 어떤 모임이 있어야 하며 이것이 곧 지역 교회인 것이다.
3. 신약 교회의 특징
침례교도들은 신약 교회를 지점이나 가맹점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각 교회를 지역적 그리고 가시적인 교회로 믿는다.
1) 사용법이 교단 계념을 거부한다.
침례교도들은 각 지역 교회들이 그 자체가 완전하며 자치권이 있으며 그리스도께 직접 대답해야 함을 믿고 있다. 즉 그들은 어떤 성직자 계급 제도(hierarchy)나 장로교회의 총회(synod)교단적인 관료제도(bureaucracy)혹은 고위 의결기관(board)등을 믿지 않는다. 침례교도들은 신약은“교회”란 개념을 지역적, 가시적 교회의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주장하고 있다. 추상적 혹은 총체적인 사용법은 다만 지역적 그리고 가시적으로 구체화된 교회를 통하여 표현될 뿐 교회들의 모임이 아닌 것이다.
2) 비유들(figures)이 교단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교회란 용어는 집합적으로 모든 교단들에 사용할 수가 없으며 집합적으로 살아 있는 모든 믿는 자들을 지칭할 수가 없는 것이다. 어떤 경우에도 모이지 않은 이런 것들이 교회가 될 수 없는 것이다.
3) 신약 교회의 특징에 해당되는 것
(1)이것은 그 사역의 일에 권위를 주었다.(딤전3:15)
(2)이것은 목사의 부르심을 높여 준다.(계2,3장)
(3)이것이 사역의 방향을 지시해 준다.
(4)이것은 신약에 대한 연구를 명확히 해 준다.
(5)이것은 사역을 하도록 동기를 부여해 준다.
(6)이것은 사역에 순수함을 준다.(엡5:27)
(7)이것은 사역에 확고함을 제공한다.(28:19,20)그리스도의 명령을 순종하는 것은 어떤 교단이 아니며 교단에 속하지 않은 어떤 가맹점(franchise)이 아닌 것이다.
- 이전글주의 만찬의 의미 08.09.25
- 다음글크리스챤 록 음악의 함정 08.09.25